## 주요 발표자: - Paul (CEO), Martin (CFO), 패널 토론 (Seeing Machines, Euro NCAP, Semicast 전문가 참여) ## 주요 논의 주제 ### 행사 개요 및 주요 안건 1. 타운홀 행사는 Seeing Machines의 최근 사업 현황 및 향후 전략 소개. 2. 참가자 60-70명 현장 참석, 온라인 참가자 약 220명. ### 핵심 사업 및 전략적 메시지 3. 핵심 메시지 4가지: 로열티 수익 성장, Guardian Gen 3 제품, 운영비 절감, 수익성 달성. 4. 유럽의 2026년 7월 GSR 규제는 자동차 로열티 성장을 촉진할 중요한 요인. 5. 로열티 성장은 수익성으로 가는 주요 경로로 자신감 높음. ### Guardian Gen 3 출시 및 문제점 해결 6. Gen 3 제품 최근 생산 시작, 기존 공급 문제 해결. 7. 공급 문제로 인해 매출 변동 있었으나, 앞으로 개선 예상. 8. Gen 3는 기존 제품보다 성능 우수 (오탐율 크게 감소). ### 운영비 절감 계획 9. 연간 1200만 달러 운영비 절감 완료(매달 100만 달러 절감 효과). 10. 구조조정으로 약 130명 직원 감축, 장기적 지속 가능성을 위한 조치. ### 수익성 및 현금 흐름 전망 11. 2025년 현금흐름 손익분기점 달성 예상. 12. 2026년 현금 흐름 흑자 전환 예상(분기당 1000만 달러). 13. 2026년 10월 만기 Magna 전환사채(약 6000만 달러)는 자체 현금 및 단기 부채로 상환 계획. ### Mitsubishi Electric Mobility와 전략적 파트너십 14. Mitsubishi Electric(Melco)이 Seeing Machines 지분 19.9% 인수(전략적 협력 목적). 15. Mitsubishi와 협력해 북미 시장 진출 강화, 생산 효율성 향상 기대. 16. 미쓰비시와의 협력 통해 판매 및 비용 효율성 개선 예상. ### 자동차 로열티 및 시장 점유율 17. 현재 약 300만 대 차량에 Seeing Machines 기술 적용. 18. 유럽 내 차량 DMS(Camera 기반) 시장 2026년 7월부터 100% 장착 의무화(GSR). 19. 유럽 OEM들이 가격 경쟁 때문에 DMS 적용을 일시적으로 축소했으나, 규제 시행 전에는 다시 증가 전망. 20. 장기적으로 시장 점유율 35% 수준 유지 목표, 경쟁사(Smart Eye 등)와의 양자 경쟁 긍정적으로 평가. ### Aftermarket 사업 현황 및 전망 21. Guardian Gen 3의 판매 호조 전망(북미 시장 관세 문제 해결됨). 22. Gen 3 마진율은 기존 10% 이하에서 45-50%로 개선 예상. 23. 분기당 6천 대 이상 판매 시, 추가적인 현금 흐름 월 100만 달러 발생 가능. ### 항공(Aviation) 사업 현황 24. Collins Aerospace와 협력 지속 중이나 주요 성과는 2027년 이후 기대. ### 기술 개발 효율성 향상 전략 25. 조직 개편 통해 R&D, 혁신 및 엔지니어링 부서 통합, 머신러닝 활용하여 개발 생산성 증가 목표. 26. 합성 데이터(Synthetic data) 사용 비중 확대하여 엔지니어링 비용 절감. --- ## 전문가 패널 토론 주요 내용 ### 유럽 규제 및 안전성 평가 (Euro NCAP) 27. 2026년 Euro NCAP 평가 항목에서 DMS가 필수 항목으로 지정됨. 28. 유럽 신차 안전평가에서 DMS가 없으면 높은 별점(5-star) 획득 불가능. 29. 현재 유럽 OEM들이 이미 DMS 규제에 맞춰 제품 준비 중, 규제 연기는 없을 전망. ### Seeing Machines 기술 경쟁력 30. 전문가(Colin, Semicast)는 Seeing Machines가 DMS 분야에서 경쟁사 대비 기술력 최고라 평가. 31. 시스템적 접근(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통합 역량)에서 Seeing Machines가 독보적 위치. ### OEM 요구사항 및 소비자 경험 32. OEM들은 단순한 규제 충족이 아닌 소비자 만족을 위한 우수한 DMS 성능 필요. 33. 오탐(False Positive)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, Seeing Machines가 이에 유리. ### 향후 자동차 기술 발전 방향 34. 완전 자율주행보다는 레벨2+ (반자율주행) 기술이 단기적으로 시장에서 대세가 될 전망. --- ## Q&A 주요 질문 요약 35. 중국 시장 진출은 직접 진입보다는 기존 Tier-1 고객사와 파트너십을 통한 간접 진출 전략. 36. 향후 소형화 및 비용 절감 통해 개인용 차량의 애프터마켓 시장 진출도 가능성 있음. --- ## 결론 및 마무리 37. 회사는 로열티 성장, Gen 3 출시 성공, 비용 절감을 통해 확실한 수익성 경로 확보 중. 38. 2026년까지 자동차 로열티 급성장으로 현금흐름 흑자 전환 확신. 39. Seeing Machines는 시장 내 기술 및 전략적 입지 확고, 투자자들에게 장기적 자신감 전달. ## 경쟁사와의 구체적 비교 언급 및 분석 ### ① DMS(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) 시장의 현 경쟁 구도 - Seeing Machines는 자신과 경쟁사로 Smart Eye, Cipia 등을 언급하며, 시장의 주요 경쟁자가 사실상 두 곳이라고 강조함. - 특히 유럽 및 북미 시장에서 의미있는 경쟁은 Seeing Machines와 "나머지 경쟁사들"로 구성된 사실상의 **양자 구도(two-horse race)** 라고 표현함. ### ② 경쟁사별 기술 경쟁력 및 시장 점유율 평가 (Colin Barnden, Semicast 연구소) - Semicast의 전문 애널리스트 Colin Barnden은 DMS 분야에서 Seeing Machines가 현재 **기술적 우위를 크게 점하고 있다**고 평가함. - 기술 수준의 순위를 보다 명확하게 다음과 같이 표현함: - **1위**: Seeing Machines (독보적인 기술적 우위) - **공동 2위**: Smart Eye 및 Cipia (기술적 역량이 비슷한 수준) - 그 외 Toby AutoSense는 현재 차량 실내 모니터링(OMS) 시장에서만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, 경차(light vehicles)의 운전자 모니터링(DMS) 시장에서는 아직 생산 중인 프로그램이 없다고 평가함. ### ③ 경쟁사 대비 Seeing Machines의 구체적 강점 - Seeing Machines는 단순히 소프트웨어만이 아니라 **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시스템 통합(system integration)** 역량을 모두 갖춘 회사라고 강조함. - 이는 Seeing Machines가 스스로를 "Tier-1.5" 업체라 표현하는 이유이며, 경쟁사와의 가장 큰 차별점이라고 설명함. - Colin은 "많은 회사들이 소프트웨어만 강조하지만, 실질적으로는 시스템 전체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"라고 강조하면서 Seeing Machines가 이 분야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주장함. - 경쟁사(Smart Eye, Cipia 등)는 "하드웨어 agnostic(하드웨어 독립적)"한 접근을 하고 있으나, 실제 시스템적 구현(system-level implementation) 능력에서 Seeing Machines에 뒤진다는 점을 지적함. ### ④ 유럽의 규제 변화와 경쟁사 대응 전망 - Euro NCAP의 규제(2026년)가 강화됨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들은 DMS 탑재가 필수화되고, 성능 요건이 매우 엄격해짐. - Colin Barnden은 유럽의 안전성 평가에서 단순히 DMS를 장착하는 수준이 아니라, 높은 수준의 성능과 정확성을 가진 DMS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경쟁사들이 여기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지가 향후 관건이 될 것이라 설명함. - Smart Eye 등 일부 경쟁사들이 기존 유럽 NCAP 규정에서는 제한된 포인트(3점 정도)에 불과했던 DMS를 다소 소극적으로 접근했으나, 앞으로 NCAP 2026의 강화된 평가 기준에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DMS를 도입하지 않으면 **최고 등급(5-star rating)을 얻기 어렵다**고 강조함. - 이에 따라, 경쟁사들이 지금까지의 방식보다 적극적인 기술 개선과 시스템 구현을 하지 않으면 점차 시장 점유율이 축소될 수 있음을 암시함. ### ⑤ 시장 점유율 구체적 수치와 예측 - Seeing Machines는 장기적으로 전체 DMS 시장에서 점유율을 **약 35% 정도로 유지**할 것으로 보고 있음. - 이는 회사의 신중한(conservative) 목표이며, 실제로는 더 높을 수 있다고도 전망함. - 경쟁사 Smart Eye, Cipia 등이 상당 부분의 나머지 점유율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예상함. - 유럽에서 2026년 7월부터 DMS가 법적 의무화됨에 따라 Seeing Machines뿐 아니라 주요 경쟁사들도 혜택을 보게 될 것이며, 유럽 전체 차량 약 2천만대가 시장이 된다는 점에서 Seeing Machines는 두 회사 모두 성공할 수 있는 충분한 시장 크기가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함. ### ⑥ 경쟁사와의 차별화를 위한 Seeing Machines의 핵심 전략 - Seeing Machines는 정확도(True positive)뿐 아니라 **오탐(False positive) 최소화**가 DMS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 강조함. - 이는 차량 운전자들이 잘못된 경고(alert)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비자 경험을 크게 개선하는 요소로 설명함. - 경쟁사 대비 Seeing Machines의 기술이 실제 차량 운전자에게 더욱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함. - 이러한 점에서 시장 진입의 용이성이나 홍보 중심적 접근을 보이고 있는 Smart Eye 등의 경쟁사들과 기술적 차별성이 분명히 존재한다고 강조함. ## 📌 Guardian 2 (Gen2) 제품 ### 주요 특징: - **시장 선도적 성능**을 가진 제품이었으며, 경쟁 제품 대비 높은 성능 수준을 보임. - 뛰어난 기술력 덕분에 **경쟁사 제품 대비 가격이 약 2배**였음에도 시장에서 판매 및 유지가 가능했음. - 장착 후 고객 유지율(Churn rate)은 2% 미만으로, 제품에 대한 고객 만족도가 매우 높았음. ### 제한 사항 및 단점: - 제품 제조 원가가 상대적으로 높아, 낮은 하드웨어 마진(single-digit margin)을 제공함. - 일부 북미 시장 진입 시, 중국산 부품 포함으로 인해 관세 부과 이슈가 있었음. - 높은 성능에도 불구하고, 경고(Alerts) 정확도(True positive)는 Gen3 대비 낮았고, 특히 오탐(False positive)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사용자 불편 발생 가능성이 있었음. - 이로 인해 일부 운전자들은 제품을 비활성화하거나 사용을 중단하는 사례가 발생했음. --- ## 📌 Guardian 3 (Gen3) 제품 ### 주요 기술적 개선점: Guardian 3는 기술적, 경제적, 그리고 사용자 경험 면에서 매우 큰 개선을 이룬 차세대 제품임. #### ① **성능 향상 (정확도 및 오탐률 개선)** - Guardian 3 제품에는 **자동차 등급(Automotive-grade)의 알고리즘**이 탑재됨. - 이를 통해 경고의 정확도(True positive)가 크게 증가했고, 오탐(False positive) 발생률은 현저히 낮아짐. - 오탐률 감소로 운전자들이 경고를 받았을 때 실제 위협이 존재하는 경우가 확실해져 사용자 경험이 크게 개선됨. - 특히 운전자 입장에서 경고(alerts)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높아져, 제품 수용성 및 고객 만족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. #### ② **비용 절감 및 마진 개선** - Guardian 2 대비 제조 비용(Cost of Goods)이 약 절반으로 감소. - 이에 따라 제품 하드웨어 마진이 기존의 한 자릿수(single-digit) 수준에서 **45~50% 수준으로 대폭 증가**할 것으로 예상됨. - 제조 지역을 중국에서 **인도네시아로 변경**하여 미국 시장 진입 시 관세 문제를 해결하였고, 미국 및 유럽 시장에서도 가격 경쟁력을 높였음. #### ③ **OTA(Over-The-Air) 기능 및 안정성 개선** - Guardian 3는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(OTA) 기능에 대한 안정성이 크게 개선됨. - Guardian 2는 OTA 업데이트 시 약 23%의 유닛에서 소프트웨어가 무한 루프에 빠지는 현상이 있었으나, Guardian 3는 이 문제가 완벽히 해결됨. #### ④ **EMI(전자기 간섭) 인증 문제 해결** - 북미 시장에서 EMI(Electromagnetic Interference) 인증 지연 문제가 Guardian 2에 있었음. - Guardian 3에서는 EMI 인증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여, 모든 인증을 완료하고 북미 시장 진출 준비를 마침. #### ⑤ **내열성(폴리머 커버) 문제 해결** - Guardian 2는 여름철 호주 차량 테스트에서 9%의 유닛이 열로 인해 폴리머(plastic polymer) 커버가 변형되어 제품 안전성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었음. - Guardian 3는 폴리머 재료에 유리 성분(glass content)을 추가하여 내열성을 개선하고, 이로 인해 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함. #### ⑥ **서비스 마진 및 운영 비용 개선** - Guardian 3의 경고 정확도 개선으로 인해 Guardian 센터에서 처리해야 하는 실제 경고 이벤트(event)가 크게 감소함. - 이벤트 처리 건수가 감소하면 Guardian 서비스 센터의 운영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, 서비스 마진도 추가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. --- ## 📌 기술적 차이점 요약표 |기술적 요소|Guardian 2 (Gen2)|Guardian 3 (Gen3)| |---|---|---| |알고리즘 수준|표준 알고리즘|자동차 등급(Automotive-grade) 알고리즘 탑재| |경고 정확도(True positive)|높지만 제한적|매우 높고 정확 (orders of magnitude 향상)| |오탐률(False positive)|상대적으로 높음|매우 낮아져 사용자 신뢰성 극대화| |제조 비용(COGS)|상대적으로 고비용|Guardian 2 대비 약 50% 절감| |하드웨어 마진|한 자릿수(single-digit) 수준|약 45~50% (높은 마진율)| |OTA(Over-The-Air) 안정성|OTA 중 무한 루프 문제 발생 (23%)|OTA 업데이트 안정성 완벽히 확보| |EMI 인증|북미 시장 인증 문제 발생|북미 시장 인증 문제 완벽 해결| |내열성 (폴리머 커버)|9% 유닛에서 열 변형 문제 발생|개선된 폴리머 소재로 열 변형 문제 해결| |생산 지역|중국(관세 문제)|인도네시아(미국 관세 문제 해결)| |서비스 비용 및 마진|높은 이벤트 처리량으로 운영 비용 높음|낮은 이벤트 처리량으로 운영 비용 감소, 마진 향상|